2019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9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는 다양한 여성 영화들을 상영하고, 경쟁 부문과 특별전을 통해 수상작을 선정했다. 국제장편, 한국장편, 아시아단편, 아이틴즈 부문에서 수상작이 나왔으며, '새로운 물결', '퀴어 레인보우', '쟁점들', '한국영화특별전' 등 다양한 섹션에서 영화가 상영되었다. 또한, 다큐멘터리 옥랑문화상, 여성 영화 제작 프로젝트, 폴란드 여성영화 특별전 등을 통해 여성 영화인들의 활동을 지원했다.
2019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 각 부문별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2. 역대 수상작
기타 부문별 수상작은 아래 표와 같다.
부문 | 수상작 | 감독 |
---|---|---|
피치&캐치 메가박스상, 포스트핀상 | 홈그라운드 | 권아람 |
피치&캐치 판씨네마상, 관객인기상(다큐멘터리) | 쓰레기덕후 소셜클럽 | 유혜민 |
피치&캐치 진진상 | 메릴 스트립 프로젝트 | 박효선 |
옥랑문화상 | 모래바람 | 박재민 |
옥랑문화상 | 올 헤일 더 킹 | 박예지 |
대상 | 민사소송 | 이은희 |
우수상 | 나의 원더우먼 | 경지숙 |
우수상 | 둠둠 | 정원희 |
우수상, 관객인기상(극영화) | 해피뉴이어 | 한지혜 |
최우수상 | 아이 | 김현탁 |
2. 1. 국제장편경쟁
국제장편경쟁 부문은 세계 각국의 여성 감독들이 제작한 장편 영화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 부문에서는 에나 세니야르비치 감독의 나를 데려가줘가 작품상을, 마리아 카브타라드제 감독의 여름 생존자가 감독상을, 안토넬라 수다삿시 퍼니스 감독의 오미가스가 심사위원특별상을 받았다.2. 1. 1. 작품상
에나 세니야르비치 감독의 나를 데려가줘가 수상했다.2. 1. 2. 감독상
마리아 카브타라드제가 여름 생존자로 수상했다.2. 1. 3. 심사위원특별상
오미가스 - 안토넬라 수다삿시 퍼니스 수상2. 2. 한국장편경쟁
강유가람 감독의 우리는 매일매일이 작품상을 받았다.2. 2. 1. 작품상
강유가람 감독의 우리는 매일매일이 수상하였다.2. 3. 아시아단편경쟁
배꽃나래 감독의 누구는 알고 누구는 모르는과 김지희 감독의 주근깨가 아시아단편경쟁 부문에서 수상했다.2. 3. 1. 작품상
배꽃나래 감독의 누구는 알고 누구는 모르는이 수상하였다.2. 3. 2. 감독상
김지희 - 주근깨2. 3. 3. 관객상
배꽃나래 감독의 누구는 알고 누구는 모르는이 관객상을 받았다.2. 4. 기타 부문별 수상
- 피치&캐치 메가박스상
- * 홈그라운드 - 권아람 수상
- 피치&캐치 판씨네마상
- * 쓰레기덕후 소셜클럽 - 유혜민 수상
- 피치&캐치 포스트핀상
- * 홈그라운드 - 권아람 수상
- 피치&캐치 진진상
- * 메릴 스트립 프로젝트 - 박효선 수상
- 옥랑문화상
- * 모래바람 - 박재민 수상
- * 올 헤일 더 킹 - 박예지 수상
2. 4. 1. 대상
민사소송 - 이은희 수상2. 4. 2. 우수상
2. 4. 3. 최우수상
김현탁 감독의 아이가 최우수상을 받았다.2. 5. 관객인기상
- 극영화: 해피뉴이어 - 한지혜 수상
- 다큐멘터리: 쓰레기덕후 소셜클럽 - 유혜민 수상
2. 6. 아이틴즈
10대 청소년들이 제작한 영화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쟁 부문이다. 박규은의 너도 그렇다가 대상을, 이다은의 순간과 금정윤의 어느 늦은 밤 집으로 가는 길이 우수상을 수상했다.2. 6. 1. 대상
박규은의 너도 그렇다가 대상을 수상했다.2. 6. 2. 우수상
3. 상영작
2019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에서는 다양한 부문의 영화들이 상영되었다.
'''경쟁 부문'''에는 국제장편경쟁, 한국장편경쟁, 아시아 단편경선, 아이틴즈 부문이 있었다. 각 부문별 상영작은 다음과 같다.
부문 | 상영작 |
---|---|
국제장편경쟁 | 얀케 블론드 감독의 도리엔 B의 베스트 앨범, 안토넬라 수다삿시 퍼니스 감독의 오미가스 등 8편 |
한국장편경쟁 | 심혜정 감독의 욕창, 전성연 감독의 해일 앞에서 등 7편 |
아시아 단편경선 | 쿠어 관링 감독의 열두 살의 여름, 김지희 감독의 주근깨 등 16편 |
아이틴즈 | 이다은 감독의 순간, 금정윤 감독의 어느 늦은 밤 집으로 가는 길 2편 |
'''새로운 물결''' 부문에서는 바바라 밀러 감독의 여성 쾌락, 야마토 유키 외 5명이 감독한 21세기 소녀 등 다양한 여성 감독들의 신작들이 소개되었다.
'''퀴어 레인보우''' 부문에서는 사만다 리 감독의 빌리와 엠마, 샹 자 감독의 달을 향해 짖는 개 등 성소수자의 삶을 다룬 영화들이 상영되었다.
'''쟁점들''' 부문에서는 발짓 상그라 감독의 우리는 딸들이니까, 마야 갈루스 감독의 부엌의 전사들 등 사회적 쟁점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들이 상영되었다.
'''특별상영''' 부문에서는 김소영 감독의 작은 풀에도 이름 있으니가 상영되었다.
'''배리어프리 상영''' 부문에서는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미래의 미라이가 배리어프리 버전으로 상영되었다.
'''한국영화특별전'''에서는 한형모 감독의 자유부인, 변영주 감독의 낮은 목소리-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 등 한국 여성 영화사의 주요 작품들이 회고 상영되었다.
'''추모전'''에서는 아녜스 바르다와 바버라 해머를 추모하며, 그들의 작품을 상영했다.
'''특별전'''에서는 이수연 감독의 해빙, 이종훈 감독의 고양이 장례식 등이 상영되었다.
'''다큐멘터리 옥랑문화상''' 부문에서는 박강아름 감독의 박강아름 결혼하다가 상영되었다.
'''여성 영화제작 프로젝트''' 부문에서는 김유월 외 2명이 감독한 연애편지 등 4편의 작품이 제작 지원을 받았다.
'''폴란드 여성영화의 힘''' 부문에서는 아그네즈카 스모친스카 감독의 낯선 여행 등 폴란드 여성 감독들의 작품이 소개되었다.
3. 1. 경쟁 부문
'''국제장편경쟁'''
제목 | 감독 |
---|---|
도리엔 B의 베스트 앨범 | 얀케 블론드 |
오미가스 | 안토넬라 수다삿시 퍼니스 |
레이디월드 | 아만다 크레이머 |
누수 | 수잔 이라바니안 |
갈대, 우거지다 | 양이슈 |
오펀즈 블루스 | 쿠도 리호 |
여름 생존자 | 마리아 카브타라드제 |
나를 데려가줘 | 에나 세니야르비치 |
'''한국장편경쟁'''
'''아시아 단편경선'''
제목 | 감독 |
---|---|
열두 살의 여름 | 쿠어 관링 |
주근깨 | 김지희 |
링링 | 윤다영 |
여름밤의 소리 | 정민희 |
리:플레이 | 장지혜 |
누구는 알고 누구는 모르는 | 배꽃나래 |
밤 사이 | 류연수 |
대리시험 | 김나경 |
로맨틱 머신 | 이소정 |
캐쉬 | 탄 웨이 팅 |
컷 아웃 | 공선정 외 3명 |
해미를 찾아서 | 허지은 외 1명 |
여름이 말한 것 | 파얄 카파디아 |
풍정.각(風情.刻) 리얼타운 | 송주원 |
학교를 뒤엎자 | 고토 미나미 |
하우스 표류기 | 전보름 |
'''아이틴즈'''
3. 2. 새로운 물결
- 여성 쾌락 - 바바라 밀러
- 21세기 소녀 - 야마토 유키 외 5명
- 멜랑콜리 걸 - 수잔느 하인리히
- 자연스럽게: 알리스 기-블라쉐의 전해지지 않은 이야기 - 파멜라 그린
- 의자 뺏기 놀이 - 루시아 치아라
- 길모퉁이가게 - 이숙경
- 델핀과 캐롤 - 칼리스토 맥널티
- 프랑스 여자 - 김희정
- 좋은 여자들 - 알레한드라 마르케즈 아벨라
- 굿바이 마이 러브NK: 붉은 청춘 - 김소영
- 내 발 아래 - 마리 크류처
- 벌새 - 김보라
- 이매지너리 오더 - 데브라 에이센스타트
- 제시카 포에버 - 캐롤린 포기 외 1명
- 메기 - 이옥섭
- 마우스피스 - 패트리샤 로제마
- 원데이 - 소피아 실라기
- 에바를 찾아서 - 피아 헬렌탈
- 버디 - 셸리 라우만
- 스케이트 키친 - 크리스탈 모셀
- 내가 필요하면 전화해 - 임오정
- 여보세요 - 부지영
3. 3. 퀴어 레인보우
- 빌리와 엠마 - 사만다 리
- 달을 향해 짖는 개 - 샹 자
- 야광 - 임철민
- 에밀리 디킨슨의 밤 - 마들렌 올넥
- 하늘과 나무 열매 - 토코이 미유키
3. 4. 쟁점들
다음은 사회적 쟁점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들이다.- 우리는 딸들이니까 - 발짓 상그라
- 부엌의 전사들 - 마야 갈루스
- 일본의 감춰진 수치 - 에리카 젠킨
- 걸캅스 - 정다원
- 와인스타인 - 우르술라 맥팔레인
- 자취방 - 황지은
- 찌르개 - 임소라
- 죽은 민영이의 장례식 - 홍석영
3. 5. 특별상영
김소영 감독의 작은 풀에도 이름 있으니가 상영되었다.3. 6. 배리어프리 상영
호소다 마모루 감독의 미래의 미라이가 배리어프리 버전으로 상영된다.3. 7. 한국영화특별전
한국 여성 영화사의 주요 작품들을 회고하는 부문으로 상영된 영화는 다음과 같다.
3. 8. 추모전
아녜스 바르다와 바버라 해머를 추모하며, 그들의 작품을 상영했다.감독 | 작품 |
---|---|
아녜스 바르다 | 5시부터 7시까지의 클레오 |
라 푸앵트 쿠르트로의 여행 | |
노래하는 여자, 노래하지 않는 여자 | |
방랑자 | |
아녜스가 말하는 바르다 | |
엘자 라 로즈 | |
얀코 삼촌 | |
블랙 팬서 | |
여성의 대답: 우리의 몸, 우리의 섹스 | |
바버라 해머 | 질산염 키스 |
저항하는 파라다이스 | |
비숍의 집 | |
클린즈드 II | |
자매들! | |
레즈비언 사랑의 기술 | |
내가 사랑하는 여인들 | |
이중 강도 | |
증거하는 몸 |
3. 9. 특별전
3. 10. 다큐멘터리 옥랑문화상
박강아름 감독의 박강아름 결혼하다3. 11. 여성 영화제작 프로젝트
3. 12. 폴란드 여성영화의 힘
폴란드 여성 감독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특별 부문이다.- 낯선 여행 - 아그네즈카 스모친스카
- 마지막 무대 - 반다 야쿠보프스카
- 외로운 여인 - 아그네츠카 홀란드
- 파푸샤 - 조아나 코스-크라우제 외 1명
- 자유노조의 잊혀진 전사들 - 마르타 디도 외 1명
- 타워, 눈부신 날 - 야고다 셸츠
- 우먼파워 - 마르타 디도 외 1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